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7

신생아 배꼽 떨어지는 시기(소독, 육아종, 진물, 피) 배꼽은 아기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아기와 엄마를 연결해 주던 생명줄입니다. 출생 후부터 기능이 없어지는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신생아 배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신생아 배꼽 떨어지는 시기탯줄은 아기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영양을 공급받고 노폐물을 배설하던 통로, 생명이었습니다. 그러나 아기가 엄마 뱃속에서 바깥세상으로 나오면 더 이상 탯줄은 필요 없게 됩니다. 그래서 깨끗이 소독한 칼이나 가위를 사용해서 양쪽 끝을 묶고 중간을 잘라버립니다. 배꼽에 남아 있는 탯줄은 10~14일 정도 지나면 저절로 떨어집니다. 신생아의 배꼽은 탯줄을 자른 후 바로 닫히는 것이 아니라 10~20일 정도 지나야 닫힙니다. 잘라내고 남은 탯줄은 10~14일 정도 잘 말리면 거무스름하고 딱딱하게 변하면서 저절로.. 2024. 3. 24.
아기가 깜짝 깜짝 놀랄 때 (기응환, 녹변) BCG 접종할 무렵부터 아기들은 깜짝깜짝 잘 놀라게 됩니다. 아기가 놀랬다고 기응환 같은 약을 먹이는 경우도 있는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아기가 깜짝깜짝 놀랄 때처음에 멀쩡하던 아기가 생후 1개월쯤 되면 잘 놀라거나 초록색 변을 보는 일이 많습니다. 어른들은 이런 경우를 가리켜 흔히 아기 귀가 뚫려서 그런다고 합니다. 아기가 이렇게 깜짝깜짝 놀라면 기응환부터 찾아 먹이는 분들이 있는데 아기들은 원래 잘 놀랍니다. 왜냐하면 아직 신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상태여서 소리나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과잉 반응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조그만 소리에도 화들짝 놀라는 아기들이 있습니다. 간혹 손발을 부르르 떨거나 턱을 덜덜 떨기도 하는데 대부분 정상으로 별문제 없으니 .. 2024. 3. 23.
신생아 황달 수치 및 치료방법 신생아가 황달에 걸리면 외관으로 바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정확한 수치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신생아 황달 수치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생아 황달 수치 모유를 먹이는 중에 황달이 생긴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맘 놓고 있다가 심각한 상태까지 이른 아기들이 간혹 있습니다. 그럼 황달 수치가 얼마나 되면 위험한 가요? 이런 질문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황달은 위험한 수치가 딱히 정해진 것이 아니고 태어난 이후 날짜에 따라서 위험한 황달 수치가 달라집니다. 임신 35주 이후에 태어난 건강한 아기의 경우 생후 48시간째에 황달 수치가 8.5 미만이면 저위험군, 11 이상이면 중등도 위험군, 13 이상이면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또한 생후 72시간에 17 이상이면 고 위험군이며.. 2024. 3. 22.
신생아 황달 모유수유 해도 될까? 아기들은 태어난 며칠 후부터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생아 황달이 생기면 모유수유를 해도 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서 신생아 황달과 모유수유에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신생아 황달 모유수유 해도 될까? 아기가 모유를 먹기 때문에 생기는 황달은 모유성 황달이라고 하는데 왜 모유 때문에 황달이 생기는지는 아직도 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모유성 황달은 모유를 먹는 신생아에게 생기는 황달을 말합니다. 모유성 황달은 심해도 별문제가 없습니다. 생후 5일 이전에는 모유를 적게 먹어서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모유를 더 많이 먹이고 더 자주 먹이기를 권장합니다. 한 시간 반에서 두 시간 반 정도의 간격을 두고 모유를 먹이세요. 아기가 밤에 잘 때는 수유한 지 4시간.. 2024. 3. 22.
신생아 황달 원인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생후 첫 주에 60% 정도 발생이 관찰됩니다. 신생아 황달수치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신생아 황달 원인많은 엄마들이 갓 태어난 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눈동자도 노랗고 심지어는 온몸이 다 노란 경우도 있습니다. 아기들은 원래 다 황달이 있다고 마음 편하게 생각하는 엄마들도 있지만 황달에 걸린 아기들이 항상 별다른 문제없이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황달이 있으면서 열이 38도가 넘거나 체온이 떨어져 몸이 싸늘하거나 먹는 것이 줄고 아기가 처지고 탈진되어 보이면 바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황달이 생기거나 황달이 심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생후 1주가 지났는데도 황달이 .. 2024. 3. 21.
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이 키워도 될까? 현재 강아지 혹은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임신이 찾아와 같이 키워도 되는지 많이들 궁금해합니다. 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을 키워도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이 키워도 될까?요즘 같은 핵가족 시대에 외톨박이 아이들에게 반려동물이 형제를 대신하기도 하고 친구 역할을 하기도 하며 정서를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그러나 신생아가 있는 집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별로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아기들은 아직 면역성이 부족해서 반려동물한테서 여러 병균들이 옮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옴 때문에 생기는 피부 개선증이나 톡소플라스마와 같은 기생충이 옮기는 무서운 병들도 옮을 수 있고, 바이러스나 세균 곰팡이에 의한 병도 옮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털이 있는 반려동물은 .. 2024. 3. 21.
신생아 목욕 시키는 방법 신생아를 목욕시킬 때 부모들은 긴장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기가 부서질 것처럼 너무 작고 혹시나 울까 봐 걱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신생아 목욕 시키는 과정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신생아 목욕 시키는 방법 목욕은 일주일에 몇 번이 좋을까? 갓 태어난 아기를 씻기려면 어딜 어떻게 만져야 할지 그리고 목욕을 매일매일 시켜도 괜찮은 건지 초보 부모에게는 아기 목욕시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신생아는 물론 돌 이전의 아기는 1주일에 세 번 정도만 목욕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을 매일매일 시키지 않으면 몸이 근질거려 참지 못하는 엄마들이 간혹 있는데 목욕을 너무 자주 시키면 아기의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땀을 많이 흘리는 계절에는 매일 물로 씻겨주는 것은 상관없습니다. .. 2024. 3. 20.
신생아 열날 때 대처 방법 신생아 시기는 부모가 잘 관찰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신생아 열날 때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신생아 열날 때 대처방법신생아는 겨드랑이로 잰 체온이 37.2도 이상일 때 열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데 이럴 때는 항문으로 다시 한번 체온을 재보는 것이 좋습니다. 수분을 보충하거나 옷을 벗겨도 열이 계속 있으면 별 이상이 없어 보여도 바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항문 체온이 38도 이상인 경우 최대한 빨리 병원에 가야 하고 귀고막 체온계는 만 3개월까지는 집에서는 가능하면 사용하지 마세요. 신생아의 경우 열은 치명적인 병이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열나는 원인을 잘 모를 때는 최악의 상황을 예상하고 치료를 하는 소아과 의사가 많습니다. 신생아가.. 2024. 3. 19.
모유수유 젖 물리는 방법 모유를 잘 먹이기 위해서는 수유 자세가 좋아야 하고 젖을 제대로 물려야 합니다. 젖을 먹일 때 엄마의 유방에 생기는 대부분의 문제가 잘못된 젖 물리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젖 물리기는 중요합니다. 모유수유 시 젖 물리는 방법에 대해 안내하고자 합니다.1. 모유수유 젖물리는 자세 좋은 수유 자세와 제대로 젖 물리기가 중요합니다. 처음에 좋은 수유자세를 배우는 것이 중요한데 초기 모유수유 시 생기는 문제는 대부분 나쁜 수유 자세와 연관이 있습니다. 모유수유 자세를 잘 알고 첫 2주간 자세를 바로잡는 것이 편안한 수유를 위해서입니다. 또한 엄마와 아기의 위치도 중요합니다. 젖을 효과적으로 빨기 위해서는 아기와 엄마의 자세가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엄마가 편한 자세를 잡고 아기가 편하게 .. 2024. 3. 18.
신생아 모유수유 하는 방법 태어나자마자 신생아실에서 시간에 맞춰 먹던 아기는 배가 고파도 스스로 찾아먹는 법을 모릅니다. 이런 아기가 퇴원 후 집에 와서 스스로 엄마 젖을 찾아먹는 법을 배우는 데는 며칠이 걸리기 때문에 아기를 특별히 잘 관찰해야 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신생아 모유수유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모유수유 하는 방법 첫 번째엄마랑 아기랑 같이 잡니다. 모유 먹이기에 성공하려면 적어도 한 달은 엄마와 이기가 24시간 내내 같은 방을 사용하면서 아기가 먹고 싶어 할 때마다 먹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산후조리원에서도 밤에 신생아실에 아기를 맡겨서는 안 됩니다. 모유만을 먹입시다. 아기를 분만하고 처음 3일 동안은 소량이 초유가 나오는데 적게 나와도 아기가 그 나이에 먹고살기에 충분한 양입니다. 대부.. 2024.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