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를 목욕시킬 때 부모들은 긴장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기가 부서질 것처럼 너무 작고 혹시나 울까 봐 걱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신생아 목욕 시키는 과정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생아 목욕 시키는 방법
목욕은 일주일에 몇 번이 좋을까? 갓 태어난 아기를 씻기려면 어딜 어떻게 만져야 할지 그리고 목욕을 매일매일 시켜도 괜찮은 건지 초보 부모에게는 아기 목욕시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신생아는 물론 돌 이전의 아기는 1주일에 세 번 정도만 목욕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을 매일매일 시키지 않으면 몸이 근질거려 참지 못하는 엄마들이 간혹 있는데 목욕을 너무 자주 시키면 아기의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땀을 많이 흘리는 계절에는 매일 물로 씻겨주는 것은 상관없습니다.
신생아는 보통 태어나고 나서 1~2주가 지나야 배꼽이 완전히 떨어지는데 이때까지는 통목욕을 시키지 말고 수건을 물에 묻혀서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얼굴에는 비누를 쓰지 말고 아기를 물에 넣는 것은 배꼽이 다 아문 다음이 좋습니다. 목욕을 마친 후 아기가 한기 들지 않도록 목욕을 시킬 때는 갈아입힐 옷이나 목욕 타월 등을 미리 챙겨두어야 합니다. 목욕은 얼굴, 머리, 상반신, 다리 순으로 위에서 아래로 씻겨 내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생후 1개월까지는 샴푸나 아기 전용 비누를 사용할 수 있는데 얼굴에는 비누를 사용하지 마세요. 특히 눈에 비누가 들어가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신생아를 목욕시킬 때는 방온도를 따뜻하게 하고 목욕물의 온도를 35~38도 정도가 적당합니다. 엄마가 물의 온도를 가늠하기 힘들 때는 온도계로 재보는 것이 좋습니다. 온도계로 재는 것이 여의치 않을 때는 어른 몸에서 온도에 비교적 민감한 부분인 손목이나 팔꿈치를 넣어보아 차갑지도 뜨겁지도 않은 정도면 적당합니다. 그리고 목욕 시간은 5분 정도가 적당합니다. 목욕을 시키는 시간대는 실내 온도가 가장 높은 오전 10시에서 2시 사이가 가장 좋지만 시간대에 구애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아기가 밤낮을 구별할 수 있게 되면 오히려 저녁에 목욕을 시켜 잡을 잘 자게 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수유 후 30분이 지난 후에 목욕을 시키는 것이 여러모로 좋습니다. 아기가 몸이 좋지 않거나 열이 높을 때는 목욕을 하루 정도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신생아를 목욕시킨 후 귓속에 물이 들어갔을 수 있으므로 면봉으로 귀 뒤와 귓바퀴를 깨끗이 닦아줍니다. 이때 면봉을 귓구멍 안에 넣지는 마세요. 콧속의 이물질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닦아주면 됩니다. 목욕 후에 파우더 사용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파우더가 아기의 호흡기에 들어가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꼭 파우더를 사용하고 싶다면 피부가 서로 닿는 부위에만 바르는데 멀리서 손에 묻혀 와서 카루가 날리지 않게 조심해야 합니다.
신생아 목욕은 몸의 청결은 말할 것도 없고 에너지 발산을 통해 적당한 운동 효과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목욕은 신진대사를 촉지니킴으로써 아기를 기분 좋게 잠들게 하고 성장을 돕는 역할도 합니다. 이렇게 신생아 목욕 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익한 정보였길 바라며 다음엔 더 유익한 내용을 갖고 오겠습니다.
'임신, 출산, 육아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황달 원인 (2) | 2024.03.21 |
---|---|
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이 키워도 될까? (0) | 2024.03.21 |
신생아 열날 때 대처 방법 (0) | 2024.03.19 |
모유수유 젖 물리는 방법 (0) | 2024.03.18 |
신생아 모유수유 하는 방법 (0) | 2024.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