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4 신생아 황달 모유수유 해도 될까? 아기들은 태어난 며칠 후부터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생아 황달이 생기면 모유수유를 해도 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서 신생아 황달과 모유수유에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신생아 황달 모유수유 해도 될까? 아기가 모유를 먹기 때문에 생기는 황달은 모유성 황달이라고 하는데 왜 모유 때문에 황달이 생기는지는 아직도 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모유성 황달은 모유를 먹는 신생아에게 생기는 황달을 말합니다. 모유성 황달은 심해도 별문제가 없습니다. 생후 5일 이전에는 모유를 적게 먹어서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모유를 더 많이 먹이고 더 자주 먹이기를 권장합니다. 한 시간 반에서 두 시간 반 정도의 간격을 두고 모유를 먹이세요. 아기가 밤에 잘 때는 수유한 지 4시간.. 2024. 3. 22. 신생아 황달 원인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생후 첫 주에 60% 정도 발생이 관찰됩니다. 신생아 황달수치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생아 황달 원인 많은 엄마들이 갓 태어난 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눈동자도 노랗고 심지어는 온몸이 다 노란 경우도 있습니다. 아기들은 원래 다 황달이 있다고 마음 편하게 생각하는 엄마들도 있지만 황달에 걸린 아기들이 항상 별다른 문제없이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황달이 있으면서 열이 38도가 넘거나 체온이 떨어져 몸이 싸늘하거나 먹는 것이 줄고 아기가 처지고 탈진되어 보이면 바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황달이 생기거나 황달이 심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생후 1주가 지났는데도 황달.. 2024. 3. 21. 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이 키워도 될까? 현재 강아지 혹은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임신이 찾아와 같이 키워도 되는지 많이들 궁금해합니다. 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을 키워도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이 키워도 될까? 요즘 같은 핵가족 시대에 외톨박이 아이들에게 반려동물이 형제를 대신하기도 하고 친구 역할을 하기도 하며 정서를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그러나 신생아가 있는 집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별로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아기들은 아직 면역성이 부족해서 반려동물한테서 여러 병균들이 옮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옴 때문에 생기는 피부 개선증이나 톡소플라스마와 같은 기생충이 옮기는 무서운 병들도 옮을 수 있고, 바이러스나 세균 곰팡이에 의한 병도 옮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털이 있는 반려동물.. 2024. 3. 21. 신생아 목욕 시키는 방법 신생아를 목욕시킬 때 부모들은 긴장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기가 부서질 것처럼 너무 작고 혹시나 울까 봐 걱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신생아 목욕 시키는 과정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생아 목욕 시키는 방법 목욕은 일주일에 몇 번이 좋을까? 갓 태어난 아기를 씻기려면 어딜 어떻게 만져야 할지 그리고 목욕을 매일매일 시켜도 괜찮은 건지 초보 부모에게는 아기 목욕시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신생아는 물론 돌 이전의 아기는 1주일에 세 번 정도만 목욕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을 매일매일 시키지 않으면 몸이 근질거려 참지 못하는 엄마들이 간혹 있는데 목욕을 너무 자주 시키면 아기의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땀을 많이 흘리는 계절에는 매일 물로 씻겨주는 것은 상관없습니다. .. 2024. 3. 20. 신생아 열날 때 대처 방법 신생아 시기는 부모가 잘 관찰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신생아 열날 때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생아 열날 때 대처방법 신생아는 겨드랑이로 잰 체온이 37.2도 이상일 때 열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데 이럴 때는 항문으로 다시 한번 체온을 재보는 것이 좋습니다. 수분을 보충하거나 옷을 벗겨도 열이 계속 있으면 별 이상이 없어 보여도 바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항문 체온이 38도 이상인 경우 최대한 빨리 병원에 가야 하고 귀고막 체온계는 만 3개월까지는 집에서는 가능하면 사용하지 마세요. 신생아의 경우 열은 치명적인 병이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열나는 원인을 잘 모를 때는 최악의 상황을 예상하고 치료를 하는 소아과 의사가 많습니다. 신생아.. 2024. 3. 19. 모유수유 젖 물리는 방법 모유를 잘 먹이기 위해서는 수유 자세가 좋아야 하고 젖을 제대로 물려야 합니다. 젖을 먹일 때 엄마의 유방에 생기는 대부분의 문제가 잘못된 젖 물리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젖 물리기는 중요합니다. 모유수유 시 젖 물리는 방법에 대해 안내하고자 합니다. 1. 모유수유 젖물리는 자세 좋은 수유 자세와 제대로 젖 물리기가 중요합니다. 처음에 좋은 수유자세를 배우는 것이 중요한데 초기 모유수유 시 생기는 문제는 대부분 나쁜 수유 자세와 연관이 있습니다. 모유수유 자세를 잘 알고 첫 2주간 자세를 바로잡는 것이 편안한 수유를 위해서입니다. 또한 엄마와 아기의 위치도 중요합니다. 젖을 효과적으로 빨기 위해서는 아기와 엄마의 자세가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엄마가 편한 자세를 잡고 아기가 편하게 .. 2024. 3. 18. 신생아 모유수유 하는 방법 태어나자마자 신생아실에서 시간에 맞춰 먹던 아기는 배가 고파도 스스로 찾아먹는 법을 모릅니다. 이런 아기가 퇴원 후 집에 와서 스스로 엄마 젖을 찾아먹는 법을 배우는 데는 며칠이 걸리기 때문에 아기를 특별히 잘 관찰해야 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신생아 모유수유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모유수유 하는 방법 첫 번째 엄마랑 아기랑 같이 잡니다. 모유 먹이기에 성공하려면 적어도 한 달은 엄마와 이기가 24시간 내내 같은 방을 사용하면서 아기가 먹고 싶어 할 때마다 먹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산후조리원에서도 밤에 신생아실에 아기를 맡겨서는 안 됩니다. 모유만을 먹입시다. 아기를 분만하고 처음 3일 동안은 소량이 초유가 나오는데 적게 나와도 아기가 그 나이에 먹고살기에 충분한 양입니다. .. 2024. 3. 17. 모유수유 할 때 알아두어야 할 것들 모유수유를 처음 할 때는 다들 젖을 물리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많은 공부가 필요하며 엄마의 부단한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모유수유 할 때 알아두어야 할 것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모유수유는 최고의 음식 모유는 아기에게 최고의 음식이며 엄마가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입니다. 모유를 먹여 키운 아기는 머리도 좋아지고 건강하게 자라며 질병에도 잘 걸리지 않습니다. 모유 먹이는 엄마도 덕을 보는데 출산 후 출혈도 적어지고 회복도 빨라지고 빨리 날씬해집니다. 난소암과 폐경기 전 유방암이 적게 걸리고 나이 들어서 골다공증도 적게 걸립니다. 2. 모유를 오래 먹이자 모유는 적어도 돌까지는 먹여야 하고 돌이 지나서도 엄마와 아기가 원하면 얼마든지 먹여도 좋습니다. 모유의 .. 2024. 3. 16. 신생아 분유수유, 수면교육 방법 및 안전사항 신생아 시기에 모유수유를 할지 분유수유를 할지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이전에 모유수유에 알아봤으니 요번엔 신생아 분유수유 및 수면교육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신생아 분유수유 방법 모유가 잘 나오지 않거나 부족한 경우 분유를 먹여야 합니다. 분유만 먹일지 혼합으로 할지는 모유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분유는 소젖으로 만든 분유가 제일 좋습니다. 우유병을 매달거나 기저귀에 기대어 아기 혼자 먹게 내버려 두지 마세요. 우유병으로 먹이더라도 모유를 수유하는 것처럼 아기와 교감을 하면서 이야기도 걸고 눈도 맞추고 노래도 불러주는 등 사랑을 담아서 먹이는 게 가장 좋습니다. 특수분유는 소아과에서 의사의 처방에 의해서만 먹이시고 분유 대신 곡식을 갈아서 먹이거나 콩분유나 산양유 같은 것을 모유나 분유 대.. 2024. 3. 15. 신생아 시기 부모가 알아야 할 필수 육아 상식 2탄(모유수유) 신생아 시기에 모유수유는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필수 육아 상식입니다. 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좋은 영양분입니다. 만일 모유가 부족한 경우 분유를 먹일 수 있습니다. 두유나 산양유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모유가 최고지만 그게 부족하면 소젖으로 만든 분유가 그다음으로 좋습니다. 1. 모유수유는 이렇게 하세요 수유는 시간을 맞추지 말고 양도 정하지 말고 아기가 배고파할 때 마음껏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입가에 손을 대서 먹으려 한다고 먹여서는 안 됩니다. 배고픈 아기는 깨서 보채고 손을 입에 넣고 젖을 찾고 빠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럼 바로 먹여야 합니다. 울기 전에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유를 할 때는 반응적 수유를 하여야 합니다. 아기의 눈을 바라보고 느낌을 공유하면서 먹이세요 한번 먹일 때 충분히.. 2024. 3. 1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