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

아기들의 수두 원인 및 증상 수두는 아기들의 접종 중 가장 기본인 접종입니다. 왜냐하면 전염성이 생각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아기들의 수두 원인 및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기들의 수두 원인 및 증상 수두는 전염성이 아주 강한 병입니다. 가족끼리는 거의 90% 확률로 옮고 학교의 교실 반 학생들끼리는 30%쯤 옮습니다. 그렇다고 치명적인 병은 아닙니다. 일주일 정도 고생 하면 일부에서는 흉이 남게 되기도 합니다. 학교는 보통 딱지가 전부 앉을 때까지 일주일 정도는 쉬어야 합니다. 수두는 물집이 잡히기 1~2일 전부터 물집이 잡히고 3~7일 지나 딱지가 질 때까지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간혹 수두 걸린 아이와 접촉한 적이 없는데 수두에 걸렸다고 하곤 합니다. 이는 수두에 걸린 아이와 접촉한 뒤 수두에 걸리는 기간이 20~21일.. 2024. 3. 31.
아기가 설사 할 때 필수로 알아야 할 것 들 아기들은 면역도 약하고 장도 약해서 수시로 설사를 하거나 쉽게 장염에 걸리기도 합니다. 하여 아이가 설사할 때 필수로 알아야 할 것 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기가 설사할 때 필수로 알아야 할 것 들 아기가 설사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분 공급입니다. 설사를 하게 되면 몸에서 수분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이건 성인도 마찬가지인데 급성 설사를 하는 병은 그 원인에 따른 치료도 중요하지만 일단 탈수를 막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설사에 대해서 필수로 알아야 할 것들은 탈수를 막기 위한 방법들입니다. 탈수를 막는 방법 중에는 설사를 멈추게 하는 방법과 물을 더 수시로 보충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설사를 멈추게 하는 방법으로 탈수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설사는 장에 있는 나쁜 것을 몸 밖으.. 2024. 3. 30.
아기 변의 다양한 모양들 부모들은 아기의 변을 통해 건강한지 혹은 아픈 곳이 있는지 잘 봐야 합니다. 아기 변의 다양한 모양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기 변의 다양한 모양들 아기의 변에 순두부처럼 흰 몽우리가 섞여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건 대개 모유나 분유 속의 유지방이 응고되어 나오는 경우입니다. 흔히 어른들은 생똥 또는 산똥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흰 몽우리 똥이 나오면 소화불량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정상인 경우에도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른 이상이 없고 아기가 잘 논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장염에 걸리거나 장 운동이 나빠져서 변에 흰 몽우리가 섞여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장 운동이 빨라지면 분유가 장에 머무르는 시간이 줄어들어서 흡수가 덜된 채로 변으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감기에 걸려서 장이.. 2024. 3. 29.
아기가 변비가 있을 때 알아 둬야 할 것 들 아기들은 변비에 잘 걸립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기가 변비 있을 때 알아 둬야 할 것들에 대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아기가 변비가 있을 때 알아둬야 할 것 아기가 변비에 걸리면 부모들은 대게 약을 먹여서 치료할 생각부터 합니다. 그래서 흔히 사용하는 것이 장 좋아지는 약인데 정장제를 복용한다고 해서 변비가 특별히 좋아지진 않습니다. 하지만 정장제는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 소아과 의사가 처방을 하면 그건 사용해도 됩니다. 보통 정장제가 아기 몸에 해롭거나 나쁜 것은 아니지만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 정량을 초과해서 먹이면 안 됩니다. 그렇게 되면 갈수록 변비를 심하게 만들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임의로 부모가 사용하지 않는 것이.. 2024. 3. 28.
아기 변비의 증상 아기 변비의 증상들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린 아기 변비의 증상 어린 아기의 경우 일주일에 변을 한 번만 보기도 합니다. 흔히 주위의 다른 아기들과 자신의 아기를 비교하면서 너무 적게 변을 보는 건 아닌지 걱정을 하는데 비교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루에 서너 번 보는 아기도 있고, 한 번만 보는 아기도 있는데 모두 정상입니다. 다른 이상이 없어도 한 5일 정도가 지나면 확인하는 차원에서 소아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어린 아기의 경우 변을 2~3일 안 본다고 함부로 관장을 시키는 것은 안됩니다. 어린 아기가 변비가 생기면 일단 다른 병이 있는지? 의심해야 합니다. 특히 모유만 먹는 생후 4주 이내의 아기가 하루에 변을 1회 이상 보지 않으면 모유 먹는 양이 부족하지 않은가 .. 2024. 3. 27.
아기 변비의 원인 변을 오랫동안 못 보거나 딱딱한 변을 볼 때 흔히 변비라고 합니다. 3세 미만 아기들 중 변비 때문에 고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아기 변비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기 변비의 원인 만 2세 미만인 아기들의 경우 특별한 이유 없이 변비가 잘 생기곤 합니다. 물론 변비가 동반되는 병이 있기도 하고 감기나 그 밖의 다른 병에 걸려 식욕 부진으로 잘 못 먹기 때문에 변비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기들의 변비는 먹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변이란 원래 덩어리를 만들어주는 음식을 먹어야 잘 누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생우유를 필요 이상으로 많이 먹이는 경향이 있어 아기들이 변비로 고생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한 살이 넘은 아기가 변비로 고생할 때는 생우유를 줄이고 채소나 과.. 2024. 3. 26.
천 기저귀 vs 종이 기저귀 장단점 뭐가 좋을까? 천 기저귀와 종이 기저귀 사이 고민하는 부모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천 기저귀와 종이 기저귀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 기저귀와 종이기저귀 장단점 천 기저귀는 공기가 잘 통하고 값이 싸며 환경 친화적인 제품입니다. 세탁만 하면 다시 쓸 수 있으며 트림을 시킬 때 턱 밑에 받치는 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천 기저귀의 장점입니다. 하지만 천 기저귀는 옆으로 변이 샐 수 있고, 기저귀 표면이 젖기 때문에 아기가 대소변을 봤을 때 빨리 갈아주지 않으면 아기 엉덩이가 대소변에 짓무르기 쉽고 부모가 직접 세탁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종이 기저귀는 놀랍게도 천 기저귀보다 위생적입니다. 또 흡수력이 좋아서 기저귀가 젖어도 표면에 물기가 비교적 적어 엉덩이가 뽀송뽀송합니다. 그래서 기저귀 발.. 2024. 3. 26.
기저귀 발진 예방, 치료법 기저귀를 사용하는 아기는 누구나 한 번쯤은 기저귀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기저귀 발진 예방, 치료, 연고 사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저귀 발진 왜 생기는 걸까? 기저귀 발진은 젖은 기저귀를 빨리 갈아주지 않아서 생깁니다. 젖은 기저귀는 아기의 피부를 무르게 만들어서 조금만 자극을 받아도 피부가 쉽게 손상됩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젖은 피부에 손상을 적게 주기 위해 윤활 성분을 입힌 기저귀가 개발되기도 했습니다. 소변을 본 기저귀를 오래 차고 있으면 습기 외에도 소변에서 만들어진 암모니아 같은 물질의 자극을 받아 피부가 붉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대변을 본 상태에서 기저귀를 오래 차고 있으면 대변에 들어 있는 소화 효소들이 아기의 약한 피부에 손상을 입혀 기저귀 발진이 잘 생깁니다. .. 2024. 3. 25.
신생아 배꼽 떨어지는 시기(소독, 육아종, 진물, 피) 배꼽은 아기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아기와 엄마를 연결해 주던 생명줄입니다. 출생 후부터 기능이 없어지는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신생아 배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생아 배꼽 떨어지는 시기 탯줄은 아기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영양을 공급받고 노폐물을 배설하던 통로, 생명이었습니다. 그러나 아기가 엄마 뱃속에서 바깥세상으로 나오면 더 이상 탯줄은 필요 없게 됩니다. 그래서 깨끗이 소독한 칼이나 가위를 사용해서 양쪽 끝을 묶고 중간을 잘라버립니다. 배꼽에 남아 있는 탯줄은 10~14일 정도 지나면 저절로 떨어집니다. 신생아의 배꼽은 탯줄을 자른 후 바로 닫히는 것이 아니라 10~20일 정도 지나야 닫힙니다. 잘라내고 남은 탯줄은 10~14일 정도 잘 말리면 거무스름하고 딱딱하게 변하면서 저.. 2024. 3. 24.
아기가 깜짝 깜짝 놀랄 때 (기응환, 녹변) BCG 접종할 무렵부터 아기들은 깜짝깜짝 잘 놀라게 됩니다. 아기가 놀랬다고 기응환 같은 약을 먹이는 경우도 있는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기가 깜짝깜짝 놀랄 때 처음에 멀쩡하던 아기가 생후 1개월쯤 되면 잘 놀라거나 초록색 변을 보는 일이 많습니다. 어른들은 이런 경우를 가리켜 흔히 아기 귀가 뚫려서 그런다고 합니다. 아기가 이렇게 깜짝깜짝 놀라면 기응환부터 찾아 먹이는 분들이 있는데 아기들은 원래 잘 놀랍니다. 왜냐하면 아직 신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상태여서 소리나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과잉 반응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조그만 소리에도 화들짝 놀라는 아기들이 있습니다. 간혹 손발을 부르르 떨거나 턱을 덜덜 떨기도 하는데 대부분 정상으로 별문제 없으.. 2024.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