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 출산, 육아의 모든 것

신생아 황달 모유수유 해도 될까?

by 세티스23 2024. 3. 22.

아기들은 태어난 며칠 후부터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생아 황달이 생기면 모유수유를 해도 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서 신생아 황달과 모유수유에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신생아 황달 모유수유 해도 될까?

아기가 모유를 먹기 때문에 생기는 황달은 모유성 황달이라고 하는데 왜 모유 때문에 황달이 생기는지는 아직도 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모유성 황달은 모유를 먹는 신생아에게 생기는 황달을 말합니다. 모유성 황달은 심해도 별문제가 없습니다. 생후 5일 이전에는 모유를 적게 먹어서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모유를 더 많이 먹이고 더 자주 먹이기를 권장합니다. 한 시간 반에서 두 시간 반 정도의 간격을 두고 모유를 먹이세요. 아기가 밤에 잘 때는 수유한 지 4시간이 지났다면 자더라도 좀 깨워서 먹이세요. 이렇게 모유의 양을 늘리면 변을 많이 보게 되는데 이때 황달을 일으키는 빌리루빈이 대변을 통해서 많이 배출됩니다. 

 

황달은 별일 없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일단 황달이 생기면 얼마나 심한지 소아과 의사를 통해 진료를 받고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황달이 있으면 모유를 끊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도 있는데 황달 때문에 모유를 끊어서는 안 됩니다. 생후 1주 이후에 생기는 모유성 황달인 경우 일시적으로 모유를 중지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도 좋아지면 다시 먹일 수 있습니다. 아기에게 황달이 있는 경우 소아과에 문의하지 않고 아기를 출산한 산부인과 직원에게 문의하여 모유를 끊으랬다고 끊는 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말이 사실이라면 정말 곤란합니다. 황달 때문에 모유를 완전히 끊어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흔치는 않지만 모유를 충분히 먹는데 황달이 아주 심하다면 황달 수치를 빨리 떨어뜨리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혼합수유를 하거나 일시적으로 모유를 중단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그냥 모유를 끊으면 다시 모유를 먹이려 할 때 나오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안 먹이는 동안에도 젖을 열심히 짜주어야 합니다. 물론 모유성 황달인 경우 모유를 끊으면 황달이 좋아집니다. 그리고 한동안은 황달이 지나 속 될 수도 있지만 모유성 황달의 진단이 붙었다면 그다지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황달이 있다고 모유를 완전히 끊어야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일시적으로 모유를 끊은 결과 황달이 좋아져서 모유성 황달인 것이 확인되면 모유를 다시 먹일 수 있고 만일 모유를 끊었는데도 황달이 좋아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모유가 원인이 아니기 때문에 모유를 완전히 끊을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신생아 황달은 중요하게 체크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태어나자마자 모유수유를 하는 엄마라면 가장 궁금한 부분이었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지금까지 신생아 황달에 모유수유를 해도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