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0 아기 변비의 원인 변을 오랫동안 못 보거나 딱딱한 변을 볼 때 흔히 변비라고 합니다. 3세 미만 아기들 중 변비 때문에 고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아기 변비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아기 변비의 원인만 2세 미만인 아기들의 경우 특별한 이유 없이 변비가 잘 생기곤 합니다. 물론 변비가 동반되는 병이 있기도 하고 감기나 그 밖의 다른 병에 걸려 식욕 부진으로 잘 못 먹기 때문에 변비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기들의 변비는 먹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변이란 원래 덩어리를 만들어주는 음식을 먹어야 잘 누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생우유를 필요 이상으로 많이 먹이는 경향이 있어 아기들이 변비로 고생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한 살이 넘은 아기가 변비로 고생할 때는 생우유를 줄이고 채소나 과일을.. 2024. 3. 26. 천 기저귀 vs 종이 기저귀 장단점 뭐가 좋을까? 천 기저귀와 종이 기저귀 사이 고민하는 부모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천 기저귀와 종이 기저귀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천 기저귀와 종이기저귀 장단점천 기저귀는 공기가 잘 통하고 값이 싸며 환경 친화적인 제품입니다. 세탁만 하면 다시 쓸 수 있으며 트림을 시킬 때 턱 밑에 받치는 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천 기저귀의 장점입니다. 하지만 천 기저귀는 옆으로 변이 샐 수 있고, 기저귀 표면이 젖기 때문에 아기가 대소변을 봤을 때 빨리 갈아주지 않으면 아기 엉덩이가 대소변에 짓무르기 쉽고 부모가 직접 세탁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종이 기저귀는 놀랍게도 천 기저귀보다 위생적입니다. 또 흡수력이 좋아서 기저귀가 젖어도 표면에 물기가 비교적 적어 엉덩이가 뽀송뽀송합니다. 그래서 기저귀 발진.. 2024. 3. 26. 기저귀 발진 예방, 치료법 기저귀를 사용하는 아기는 누구나 한 번쯤은 기저귀 발진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기저귀 발진 예방, 치료, 연고 사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기저귀 발진 왜 생기는 걸까?기저귀 발진은 젖은 기저귀를 빨리 갈아주지 않아서 생깁니다. 젖은 기저귀는 아기의 피부를 무르게 만들어서 조금만 자극을 받아도 피부가 쉽게 손상됩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젖은 피부에 손상을 적게 주기 위해 윤활 성분을 입힌 기저귀가 개발되기도 했습니다. 소변을 본 기저귀를 오래 차고 있으면 습기 외에도 소변에서 만들어진 암모니아 같은 물질의 자극을 받아 피부가 붉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대변을 본 상태에서 기저귀를 오래 차고 있으면 대변에 들어 있는 소화 효소들이 아기의 약한 피부에 손상을 입혀 기저귀 발진이 잘 생깁니다. 특.. 2024. 3. 25. 신생아 배꼽 떨어지는 시기(소독, 육아종, 진물, 피) 배꼽은 아기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아기와 엄마를 연결해 주던 생명줄입니다. 출생 후부터 기능이 없어지는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신생아 배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신생아 배꼽 떨어지는 시기탯줄은 아기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영양을 공급받고 노폐물을 배설하던 통로, 생명이었습니다. 그러나 아기가 엄마 뱃속에서 바깥세상으로 나오면 더 이상 탯줄은 필요 없게 됩니다. 그래서 깨끗이 소독한 칼이나 가위를 사용해서 양쪽 끝을 묶고 중간을 잘라버립니다. 배꼽에 남아 있는 탯줄은 10~14일 정도 지나면 저절로 떨어집니다. 신생아의 배꼽은 탯줄을 자른 후 바로 닫히는 것이 아니라 10~20일 정도 지나야 닫힙니다. 잘라내고 남은 탯줄은 10~14일 정도 잘 말리면 거무스름하고 딱딱하게 변하면서 저절로.. 2024. 3. 24. 아기가 깜짝 깜짝 놀랄 때 (기응환, 녹변) BCG 접종할 무렵부터 아기들은 깜짝깜짝 잘 놀라게 됩니다. 아기가 놀랬다고 기응환 같은 약을 먹이는 경우도 있는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아기가 깜짝깜짝 놀랄 때처음에 멀쩡하던 아기가 생후 1개월쯤 되면 잘 놀라거나 초록색 변을 보는 일이 많습니다. 어른들은 이런 경우를 가리켜 흔히 아기 귀가 뚫려서 그런다고 합니다. 아기가 이렇게 깜짝깜짝 놀라면 기응환부터 찾아 먹이는 분들이 있는데 아기들은 원래 잘 놀랍니다. 왜냐하면 아직 신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상태여서 소리나 여러 가지 자극에 대한 반응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과잉 반응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조그만 소리에도 화들짝 놀라는 아기들이 있습니다. 간혹 손발을 부르르 떨거나 턱을 덜덜 떨기도 하는데 대부분 정상으로 별문제 없으니 .. 2024. 3. 23. 신생아 황달 수치 및 치료방법 신생아가 황달에 걸리면 외관으로 바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정확한 수치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신생아 황달 수치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생아 황달 수치 모유를 먹이는 중에 황달이 생긴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맘 놓고 있다가 심각한 상태까지 이른 아기들이 간혹 있습니다. 그럼 황달 수치가 얼마나 되면 위험한 가요? 이런 질문을 많이 합니다. 그런데 황달은 위험한 수치가 딱히 정해진 것이 아니고 태어난 이후 날짜에 따라서 위험한 황달 수치가 달라집니다. 임신 35주 이후에 태어난 건강한 아기의 경우 생후 48시간째에 황달 수치가 8.5 미만이면 저위험군, 11 이상이면 중등도 위험군, 13 이상이면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또한 생후 72시간에 17 이상이면 고 위험군이며.. 2024. 3. 22. 신생아 황달 모유수유 해도 될까? 아기들은 태어난 며칠 후부터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생아 황달이 생기면 모유수유를 해도 되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아서 신생아 황달과 모유수유에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신생아 황달 모유수유 해도 될까? 아기가 모유를 먹기 때문에 생기는 황달은 모유성 황달이라고 하는데 왜 모유 때문에 황달이 생기는지는 아직도 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모유성 황달은 모유를 먹는 신생아에게 생기는 황달을 말합니다. 모유성 황달은 심해도 별문제가 없습니다. 생후 5일 이전에는 모유를 적게 먹어서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모유를 더 많이 먹이고 더 자주 먹이기를 권장합니다. 한 시간 반에서 두 시간 반 정도의 간격을 두고 모유를 먹이세요. 아기가 밤에 잘 때는 수유한 지 4시간.. 2024. 3. 22. 신생아 황달 원인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생후 첫 주에 60% 정도 발생이 관찰됩니다. 신생아 황달수치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신생아 황달 원인많은 엄마들이 갓 태어난 아기의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눈동자도 노랗고 심지어는 온몸이 다 노란 경우도 있습니다. 아기들은 원래 다 황달이 있다고 마음 편하게 생각하는 엄마들도 있지만 황달에 걸린 아기들이 항상 별다른 문제없이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황달이 있으면서 열이 38도가 넘거나 체온이 떨어져 몸이 싸늘하거나 먹는 것이 줄고 아기가 처지고 탈진되어 보이면 바로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황달이 생기거나 황달이 심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생후 1주가 지났는데도 황달이 .. 2024. 3. 21. 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이 키워도 될까? 현재 강아지 혹은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임신이 찾아와 같이 키워도 되는지 많이들 궁금해합니다. 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을 키워도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신생아와 강아지, 고양이 같이 키워도 될까?요즘 같은 핵가족 시대에 외톨박이 아이들에게 반려동물이 형제를 대신하기도 하고 친구 역할을 하기도 하며 정서를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그러나 신생아가 있는 집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별로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아기들은 아직 면역성이 부족해서 반려동물한테서 여러 병균들이 옮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옴 때문에 생기는 피부 개선증이나 톡소플라스마와 같은 기생충이 옮기는 무서운 병들도 옮을 수 있고, 바이러스나 세균 곰팡이에 의한 병도 옮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털이 있는 반려동물은 .. 2024. 3. 21. 신생아 목욕 시키는 방법 신생아를 목욕시킬 때 부모들은 긴장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기가 부서질 것처럼 너무 작고 혹시나 울까 봐 걱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신생아 목욕 시키는 과정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신생아 목욕 시키는 방법 목욕은 일주일에 몇 번이 좋을까? 갓 태어난 아기를 씻기려면 어딜 어떻게 만져야 할지 그리고 목욕을 매일매일 시켜도 괜찮은 건지 초보 부모에게는 아기 목욕시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닙니다. 신생아는 물론 돌 이전의 아기는 1주일에 세 번 정도만 목욕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목욕을 매일매일 시키지 않으면 몸이 근질거려 참지 못하는 엄마들이 간혹 있는데 목욕을 너무 자주 시키면 아기의 피부가 건조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땀을 많이 흘리는 계절에는 매일 물로 씻겨주는 것은 상관없습니다. .. 2024. 3. 2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