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기저귀와 종이 기저귀 사이 고민하는 부모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천 기저귀와 종이 기저귀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천 기저귀와 종이기저귀 장단점
천 기저귀는 공기가 잘 통하고 값이 싸며 환경 친화적인 제품입니다. 세탁만 하면 다시 쓸 수 있으며 트림을 시킬 때 턱 밑에 받치는 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천 기저귀의 장점입니다. 하지만 천 기저귀는 옆으로 변이 샐 수 있고, 기저귀 표면이 젖기 때문에 아기가 대소변을 봤을 때 빨리 갈아주지 않으면 아기 엉덩이가 대소변에 짓무르기 쉽고 부모가 직접 세탁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종이 기저귀는 놀랍게도 천 기저귀보다 위생적입니다. 또 흡수력이 좋아서 기저귀가 젖어도 표면에 물기가 비교적 적어 엉덩이가 뽀송뽀송합니다. 그래서 기저귀 발진을 줄이는 데도 종이 기저귀가 천 기저귀보다 아주 조금이지만 더 낫습니다. 방수가 잘되는 것도 종이 기저귀의 큰 장점 가운데 하나입니다. 특히 보육원이나 어린이집 등에서는 아기들에게 종이 기저귀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위생적입니다. 종이 기저귀가 천 기저귀보다 소변이나 대변이 샐 가능성이 적어 대소변을 통해 병이 전염될 확률이 적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종이 기저귀는 값이 비싸고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어떤 기저귀를 사용해야 할까?
밤에 잘 때나 여행할 때는 종이 기저귀를 사용해도 좋습니다. 보통 천 기저귀가 종이 기저귀보다 더 낫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천 기저귀가 종이 기저귀보다 특별히 나은 점은 없습니다. 오히려 환경 문제나 비용 문제를 신경 쓰지 않는다면 종이 기저귀가 더 나은 면도 있습니다. 천 기저귀는 일단 젓으면 표면이 젖기 때문에 아기의 엉덩이에 지속적인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천 기저귀를 사용하면 종이 기저귀보다 자주 갈아줘야 합니다. 그리고 낮에는 천 기저귀를 쓰더라도 밤에는 종이 기저귀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밤에는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기 힘든데 천 기저귀는 수분 흡수가 잘 안 되기 때문입니다. 천 기저귀든 종이 기저귀든 제때 잘 갈아주기만 하면 어느 것을 사용하든 괜찮습니다. 의학적인 면과 비용이나 환경 문제 등 여러 가지 면을 고려할 때 두 가지를 함께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천 기저귀의 올바른 세탁 법
천 기저귀는 잘 빨고 말려야 하며 자주 삶는 것이 좋습니다. 세탁할 때는 충분히 헹궈 비 누기가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주기적으로 살균 소독이 되는 표백제 등으로 기저귀를 소독해야 합니다. 옥시크린이나 락스 등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 중요한 것은 세제가 완전히 다 빠지도록 잘 헹궈야 한다는 것입니다. 세제가 남아 있으면 아기의 연약한 피부에 손상을 주기 때문입니다. 기저귀가 젖으면 바로바로 세탁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천 기저귀의 올바른 건조법
천 기저귀는 햇볕에서 완전히 말려야 살균이 됩니다. 햇볕이 유리창을 통과하면 살균에 필요한 자외선이 유리창에 거의 대부분 흡수되어 버리므로 살균력이 떨어집니다. 기저귀를 말릴 때는 반드시 직접 햇볕이 닿는 실외에서 말리는 것이 좋습니다. 장마철에 기저귀가 잘 마르지 않을 때는 전열기에 말리기도 합니다. 급할 때 헤어 드라이어기를 사용해도 됩니다. 건조기 사용도 좋습니다. 단, 방바닥에 기저귀를 말리면 안 됩니다. 적당히 따끈따끈한 데다 물기가 있는 기저귀에 방바닥에 묻어 있던 균이 달라붙어서 금방 번식해 기저귀가 오염됩니다. 방바닥이 지저분하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특히 아기의 옷이나 이불에서 지린내가 나면 몽땅 걷어다 살균소독되는 표백제로 소독해야 합니다. 삶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저귀나 아기의 몸에서 지린내가 나면 아기 건강의 명백한 적신호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이렇게 천 기저귀와 종이 기저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비교해 보시고 아기가에게 좋은 선택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임신, 출산, 육아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변비의 증상 (0) | 2024.03.27 |
---|---|
아기 변비의 원인 (2) | 2024.03.26 |
기저귀 발진 예방, 치료법 (0) | 2024.03.25 |
신생아 배꼽 떨어지는 시기(소독, 육아종, 진물, 피) (0) | 2024.03.24 |
아기가 깜짝 깜짝 놀랄 때 (기응환, 녹변) (0) | 202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