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변비의 증상들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린 아기 변비의 증상
어린 아기의 경우 일주일에 변을 한 번만 보기도 합니다. 흔히 주위의 다른 아기들과 자신의 아기를 비교하면서 너무 적게 변을 보는 건 아닌지 걱정을 하는데 비교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루에 서너 번 보는 아기도 있고, 한 번만 보는 아기도 있는데 모두 정상입니다. 다른 이상이 없어도 한 5일 정도가 지나면 확인하는 차원에서 소아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어린 아기의 경우 변을 2~3일 안 본다고 함부로 관장을 시키는 것은 안됩니다.
어린 아기가 변비가 생기면 일단 다른 병이 있는지? 의심해야 합니다. 특히 모유만 먹는 생후 4주 이내의 아기가 하루에 변을 1회 이상 보지 않으면 모유 먹는 양이 부족하지 않은가 소아과 의사의 확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6주 이상의 아기는 정상적으로 수일간 변을 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이 떨어진 아이도 심한 변비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어린 아기의 변비가 계속되면 소아과 의사와 반드시 상의를 해야 합니다.
분유를 먹는 아기의 경우 변비가 생기면 물을 조금 더 먹여야 합니다. 변비가 생기면 일단 먹는 수분의 양이 부족한 경우가 가장 흔하기 때문에 물을 더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분유에 물을 조금 더 첨가해서 먹이기도 합니다. 아주 간혹 소아과 의사가 분유를 진하게 타서 먹이라고 권장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는 소아과 의사의 처방에 따라야 합니다. 변비가 생겼다고 관장을 자꾸 하거나 12개월 이전의 아기에게 과일 주스를 먹여 변비를 치료하려고 하는 것은 안됩니다. 아기의 소변이 노랗고 소변의 횟수가 적다면 우선 수분의 양이 부족하지는 않은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이유식을 시작하는 아기 변비 증상
이유식을 하는 나이가 되면 아이들에게 여러 가지 이유식을 나이에 따라 먹여야 합니다. 만 6개월이 되면 이유식으로 죽을 먹여야 하는데 죽에는 서서히 섬유질이 있는 채소를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과일을 먹여서 아기의 배가 커진 만큼 그 배를 채울 덩어리를 만들 재료를 아이에게 제공해 주어야 변이 잘 생겨서 밀려 나올 변이 생깁니다. 변이 일정한 크기가 되어야 장이 변을 밀어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혹 이유식 양을 늘리고 섬유질이 많은 채소나 과일을 많이 먹이라고 권장하면 적게 먹이면서도 많이 먹인다고 주장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유식은 반드시 육아책을 보고서 양을 가늠해야 합니다. 이유식에는 여러 가지 채소를 섞어서 장에 섬유질을 공급해 주는 것이 필수입니다.
생후 6개월부터는 과일을 먹일 수 있는데 즙을 짜서 먹이기보다는 과일 통째로 갈거나 으깨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이유식을 하는 아기도 수분 부족으로 변비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충분한 물을 먹여야 합니다. 특히 모유만 먹던 아기의 경우 이유식 초기에 변비가 생기기도 하는데 이는 처음 보는 음식물을 아기의 장이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몰라 장 속에 한참을 두게 되어 변이 딱딱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물 60cc에 설탕 한 티스푼을 넣어 먹이거나 과일을 갈아 먹이면 도움이 됩니다. 6~12개월 된 아기가 변비가 심하면 사과를 갈아 물 타서 먹이거나 서양 자두를 퓌레로 만들어며 숟가락 먹입니다. 미국 같으면 쌀죽을 오트밀로 바꾸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쌀죽은 변비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퓌레로 만든 살구도 도움이 되면 1/4컵 정도의 배를 갈아 먹여도 변을 잘 보게 됩니다.
우유를 줄여야 하는 돌 된 아기 변비 증상
우유를 많이 먹으면 변비가 생기기 쉽습니다. 우유는 섬유질이 적은 대표적인 음식인 데다 돌 지난 아기가 우유를 많이 먹으면 다른 음식을 적게 먹게 되어 당연히 변비가 생깁니다. 이런 변비는 쉽게 치료되지 않습니다. 돌이 되면 우유병과 분유를 끊고 우유는 생우유로 바꿔서 하루에 두 컵 정도만 먹이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밥과 반찬을 주식으로 먹이면 됩니다. 우유로 생긴 변비는 우유를 줄이고 식사량을 늘리면 치료가 가능합니다. 물을 적게 먹는 아이는 물이나 주스를 좀 많이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변비를 줄이겠다고 요구르트를 먹이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우유를 많이 먹어서 변비가 생긴 아이에게 변비를 줄이겠다고 요구르트를 더 먹이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놀랍게도 요구르트는 변비를 일으키는 음식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설탕이 많이 들어간 요구르트를 먹으면 처음에는 변비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 같아 보이지만 요구르트를 먹는 만큼 아기가 다른 음식을 안 먹게 되어 섬유질의 섭취가 줄면서 변비가 더 심해지는 것을 흔히 봅니다. 간혹 분유를 끊으니 변비가 생겼다고 다시 분유를 먹이는 분도 있는데 변비를 막겠다고 분유를 계속 먹여서는 안 됩니다. 분유를 끊고 밥을 먹이면 분유로 ㄷ르어가던 수분의 양만큼 물을 더 먹이지 않으면 수분 부족으로 변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수분 보충보다 더 중요한 것은 채소를 많이 먹이고 여러 가지 반찬을 골고루 먹이는 것입니다.
대소변 가리기 하는 아기의 변비 증상
옆집 아이는 돌이 지나자마자 바로 대소변을 가렸는데 15개월이 지난 우리 아이는 대소변을 못 가린다고 속상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대소변 가리기는 만 18개월은 지나서 시키는 것이 좋고 24개월에 시작해도 그리 늦지는 않습니다. 대소변 가리기를 너무 일찍 시키는 경우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아서 변비가 생기기도 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변비가 오래되고 심하게 되면 똥덩어리가 너무 크고 딱딱해서 똥 눌 때 아프거나 항문이 찢어져서 똥을 눌 때마다 심한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아이는 똥을 눌 때 아플까 봐 겁이 나서 똥을 참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똥 마려운 표정을 하면서 구석에 가서 다리를 배배 꼬고 똥을 참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똥 누는 것을 너무 강요하지 말고 좌욕을 시켜서 항무느이 근육을 좀 풀어주고 뱃속에 찬 딱딱한 똥덩어리를 제거하기 위해서 관장을 하기도 하고, 아이가 똥 눌 때 아파서 참는 잘못된 배변 습관을 고쳐주기 위해서 변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약을 장기간 복용하고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충분히 먹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약들은 아이들에게 장기가 사용해도 별 문제가 없으며 충분히 사용 후 아이가 똥을 참지 않고 스스로 기분 좋게 변을 볼 시기가 되면 서서히 약 먹는 것을 줄여가야 합니다.
아기 변비의 증상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익한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임신, 출산, 육아의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변의 다양한 모양들 (1) | 2024.03.29 |
---|---|
아기가 변비가 있을 때 알아 둬야 할 것 들 (0) | 2024.03.28 |
아기 변비의 원인 (2) | 2024.03.26 |
천 기저귀 vs 종이 기저귀 장단점 뭐가 좋을까? (0) | 2024.03.26 |
기저귀 발진 예방, 치료법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