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 출산, 육아의 모든 것

신생아 시기 부모가 알아야 할 필수 육아 상식 2탄(모유수유)

by 세티스23 2024. 3. 14.

신생아 시기에 모유수유는 부모가 꼭 알아야 할 필수 육아 상식입니다. 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좋은 영양분입니다. 만일 모유가 부족한 경우 분유를 먹일 수 있습니다. 두유나 산양유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모유가 최고지만 그게 부족하면 소젖으로 만든 분유가 그다음으로 좋습니다.

1. 모유수유는 이렇게 하세요

수유는 시간을 맞추지 말고 양도 정하지 말고 아기가 배고파할 때 마음껏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입가에 손을 대서 먹으려 한다고 먹여서는 안 됩니다. 배고픈 아기는 깨서 보채고 손을 입에 넣고 젖을 찾고 빠는 모습을 보입니다. 그럼 바로 먹여야 합니다. 울기 전에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유를 할 때는 반응적 수유를 하여야 합니다. 아기의 눈을 바라보고 느낌을 공유하면서 먹이세요

 

한번 먹일 때 충분히 먹는 것을 처음부터 가르쳐 뱃구레를 키워주세요. 조금 먹고 자면 깨워서 충분히 먹는 연습을 처음부터 하지 않아 조금씩 먹는 습관이 들면 나중에 고치기 힘듭니다. 충분히 먹은 아기는 배불러 포만감에 만족해하며 잠이 들거나 젖에서 떨어지려고 고개를 돌리거나 다른 것에 관심을 보이거나 입을 다물게 됩니다. 

 

수유 후 트림을 시킬 수도 있습니다. 한번 수유 시 몇 번 트림을 하기도 합니다. 4시간 이상 안 먹고 잘 때는 얕은 잠을 잘 때 깨워 수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후 2~주 사이는 아기가 빨리 자라는 시기로 수유량이 늘어난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합니다. 

 

수유 시에는 조용하고 평온한 분위기에서 수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간 의식적으로 밤보다는 낮에 더 먹이려고 노력을 하세요. 잘 먹는 아기는 생후 5~6일경에 하루에 천기저귀를 6~8개 적시고 종이 기저귀라면 5~6개를 적시고 3~4개의 똥기저귀를 만들어냅니다. 수유 시 울리는 경우가 흔합니다. 심하게 울리지 않는 경우라면 시간이 지나면 대게 좋아지게 됩니다. 

 

비타민D는 생후 수일째부터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 사레가 들 수 있는 아기의 경우 지용성으로 먹이는 것보다는 수용성으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수용성은 현재 동네 소아과에서 파는 곳이 많습니다. 그 외에 초유성분은 권장하지 않고 유산균이나 비타민제제 사용은 정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2. 신생아 모유수유

모유는 보통 두 돌까지 먹이는 게 기본입니다. 엄마와 아기가 하루 종일 2시간 한밤에도 한 방에 같이 있어야 모유수유를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 하루에 불과 서너 시간만 아기를 신생아실에 맡겨도 제대로 도니 모유수유가 힘들어집니다. 

첫 수일간 모유만 물리는 것이 모유수유 성공의 핵심입니다. 첫 2~3일간은 모유가 잘 나오지 않지만 대부분의 아기들은 이렇게 적게 먹고도 충분합니다. 하지만 열심히 물려야 나중에 모유수유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안 나온다고 굶기거나 함부로 분유를 주지 마십시오. 

 

아기가 배고파서 먹고 싶어 하면 바로 먹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간을 맞춰서 먹이지 마시고 울 때 먹이면 늦습니다. 젖을 짜서 먹이는 것보다 직접 물리는 게 가장 좋습니다. 짜서 먹이게 되면 모유도 잘 나오지 않게 되고 나중에 아기가 직접 젖을 물지 않아서 엄청나게 고생할 수 있습니다. 첫 수유는 출산 30분~1시간 내에 시작하고, 하루에 8~12회, 한 번에 15분 이상 먹고 한번 수유할 때 양쪽을 다 물리는 것이 좋습니다. 밤에도 4시간 이상 자면 깨워서 먹입니다.

 

젖은 깊숙이 물려야 하며 젖이 아픈 경우 젖을 잘못 물린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수유 자세를 교정받아야 합니다. 첫 6개월은 모유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물로 주스도 더 먹일 필요는 없습니다. 모유 먹이는 아기의 변은 원래 묽게 나옵니다. 물젖이란 없습니다. 생후 2~4일쯤 되면 모유가 잘 나오게 됩니다. 이때까지 젖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는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모유수유 중에 엄마가 한약을 먹는 것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모유수유하는 엄마는 엽산이 포함된 멀티비타민 하나 정도는 먹는 것이 좋고 오메가 3 등을 보충하기 위해 일주일에 180g 정도 생선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젖이 부족한 경우 소아과 의사와 젖 늘리는 방법에 대해서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황달이 있어도 젖을 끊을 필요는 없습니다. 1~2일 정도 일시적으로 중단하더라도 다시 수유를 하게 되므로 젖을 짜고 컵으로 먹이면서 중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