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신, 출산, 육아의 모든 것

신생아 시기 부모가 알아야 할 필수 육아 상식 1탄

by 세티스23 2024. 3. 13.

신생아 시기는 부모가 신경 쓰고 알아야 할 것들이 많은 시기입니다. 옛날엔 다 알아서 키웠다는 어른들의 말씀보다 요즘은 과학적으로 밝혀진 게 많아 필수로 공부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육아는 알면 알수록 쉬워지는 것입니다. 그러니 미리미리 공부해서 내 것이 되어야 아기를 키우는 것이 편안해집니다. 출산 후 공부하기보다는 출산 전 알아야 할 필수 육아 상식을 미리 익히면 출산 후 신생아를 돌볼 때 조금 더 수월해질 것입니다.

 

1. 필수 육아 상식: 울음 

울음은 말하지 못하는 아기의 언어입니다. 아기가 배고파서 울면 먹이고 기저귀가 젖어서 울면 갈아주세요. 하지만 아기들은 원래 별다른 문제를 발견할 수 없는 경우에도 웁니다. 배고파서 우는 게 아닌데 먹는 것으로 아기를 달래서는 안 됩니다. 적어도 3개월간은 열심히 안아주세요. 이 시기에 많이 안아준다고 버릇이 나빠지는 것은 아닙니다. 우는 아기가 달래 지지 않는다고 화나서 심하게 흔들어서는 안 됩니다. 아기를 달래는 제일 좋은 방법은 안아주고 얼러주고 토닥여주고 부모의 따뜻한 말로 달래주는 것입니다. 쉬 쉬라는 소리는 이런저런 방법을 사용한 후에 그래도 안되면 아주 간혹 사용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아기 우는 것 너무 겁낼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실제로도 아기를 울리지 않고 키우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이야기이고, 우리 옛 속담에 아기는 적당히 울리면서 키워야 머리가 좋아진고도 했답니다. 

2. 목욕 

배꼽이 떨어지지 않은 아기는 통목욕을 시키지 마세요. 목욕은 돌까지는 일주일에 3회 정도만 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너무 더워서 땀이 많이 나면 하루에 한 번 목욕시켜도 좋습니다. 목욕 후 귓구멍 안을 면봉으로 파지 마세요. 신생아 얼굴에 비누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하지 마세요. 땀띠분 사용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3. 배꼽관리

배꼽은 잘 말려주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알코올 소독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대소변으로 오염이 되면 기저귀 갈 때마다 잘 씻기고 말려주세요. 배꼽이 떨어질 때까지는 통목욕을 시켜서는 안 됩니다. 배꼽은 대개 10~14일경에 떨어집니다. 3~4주까지 배꼽이 떨어지지 않으면 소아과 의사와 상의하십시오.

4. 녹변을 볼 경우 

녹색변이 나와도 너무 묽거나 횟수가 지나치게 많지 않으면 별 상관이 없습니다. 기응환이나 청심환 같은 약을 함부로 먹이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단 모유를 먹는 아기가 묽은 녹변을 볼 경우에는 모유를 너무 짧은 시간만 먹여 모유 먹일 때 먼저 나오는 앞쪽의 전유만을 많이 먹은 것은 아닌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모유는 앞과 뒤의 성분이 다른데 앞은 당분이 많고 뒤는 지방이 많습니다. 앞쪽만 먹는 경우 당을 상대적으로 많이 먹게 되고 그럼 변이 묽어질 수 있습니다. 

5. 딸꾹질할 경우 

수유 중 딸꾹질을 하면 잠시 수유를 중단하고 자세를 다시 잡아서 안고 잠시 얼러줍니다. 5~10분 정도 지나도 멎지 않는다면 모유를 먹는 아기는 모유를 조금 다시 먹이거나 분유를 먹는 아기의 경우는 미지근한 물을 조금 먹여볼 수 있습니다.

6. 기저귀 갈기

천기저귀든 종이기저귀든 상관없습니다. 젖으면 빨리 갈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의 엉덩이는 잘 씻고 말리는 것이 좋으며 물티슈보다는 맹물을 이용하여 씻기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를 닦을 때는 여자 아기의 경우는 앞에서 뒤로 닦아주어야 요로감염 등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7. 일광욕

6개월 이전의 아기는 가능하면 햇볕을 직접 쬐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피부암과 주름과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